2016년 11월 20일, 나는 8년 10개월간 근무한 네이버를 퇴사하고, 그 바로 다음날인 21일 스마트폰 송금 서비스 토스를 만드는 비바 리퍼블리카에 입사했다. 입사를 결정하게 된 계기 작년 즈음부터 스타트업에서 일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그 와중에 비바 리퍼블리카에서 보낸 구인 메일을 받고서 이직을 생각하게 되었다. 2주일 정도 생각을 해보다가 한번 면접을 보기로 결정하고 … 비바 리퍼블리카로 이직한 이야기 계속 읽기
[카테고리:] 미분류
wordpress.com로 이사
원래 cafe24 가상 호스팅에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쓰고 있었는데, 때때로 서버가 죽어서 좋지 않았다. 죽어도 알려주지도 않는다는 점은 더욱 나빴다. 그래서 서비스형 워드프레스로 이사왔다. 도메인 연결비용 연 13달러만 내면 되고 서버가 잘 죽지도 않을 것 같고 죽더라도 알아서 살려낼테니. disqus로 댓글 단 건 옮겨오지 못하고 백업만 했다. xml로 export를 하기는 했는데, 여기로 import 하는 방법은 모르겠다.
구글 크롬으로 구글에 접속하면 HTTP/2가 아닌 SPDY/3.1을 사용하는 이유
구글 크롬을 이용해서 구글 사이트에 접속하면 HTTP/2가 아닌 QUIC+SPDY/3.1로 동작하게 된다. 왜 HTTP/2가 아닌 SPDY/3.1을 사용하는 것일까? 내 생각엔 명세상 QUIC과 HTTP/2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어서가 아닐까 싶다. HTTP 명세를 살펴보자. 우선 HTTP/1.1은 TCP를 강제하지 않는다. 신뢰할 수 있는 transport layer 위에서 구현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HTTP is a stateless request/response protocol that operates by … 구글 크롬으로 구글에 접속하면 HTTP/2가 아닌 SPDY/3.1을 사용하는 이유 계속 읽기
gnome에서 hidpi 1.5배 스케일
요새 hidpi 지원하는 모니터/노트북들이 많은데, 이런 디스플레이의 경우 gnome은 자동으로 2배로 스케일을 해 준다. 하지만 솔직히 2배는 너무 크다. 1.5배 정도가 적당할 것 같은데, 스케일은 오직 정수 단위로만 지원된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스케일은 1배로 하고, 텍스트만 1.5배로 하는 걸로 어느정도 흉내는 낼 수 있다. gsettings set org.gnome.desktop.interface scaling-factor 1 gsettings set org.gnome.desktop.interface text-scaling-factor 1.5 그럭저럭 … gnome에서 hidpi 1.5배 스케일 계속 읽기
우분투에서 와이파이가 안될때
나는 맥북에어에 우분투를 사용한다. MacOSX를 쓰다가 수 개월 전에 넘어왔다. 우분투가 MacOSX보다 못한 점 중 하나가 와이파이가 잘 안된다는 점이다. 단순히 늦게 연결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불통인 경우가 수두룩하다. 우분투에서 인터넷이 안될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몇가지 팁을 적어본다. 애플릿 재시작 무선 인터넷이 안되서 와이파이 애플릿에서 AP를 바꿔보려고 하는데 전혀 먹통인 경우가 있다. 아무리 … 우분투에서 와이파이가 안될때 계속 읽기
한달간 매일 블로깅을 해보고
9월 한달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이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다. (이 포스팅을 포함해서) 어디선가 좋은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는 블로그를 성실하게 운영해보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이 계기이다. 성실하게 운영하려면 포스팅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고,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이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기도 했지만, 목표로 한 기간 동안에는 … 한달간 매일 블로깅을 해보고 계속 읽기
3-way merge 알고리즘에 대해
Git에서 두 브랜치를 머지할 때, 기본적으로 3-way merge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된다. 어떤 sequence A, B와 그 둘의 base인 sequence O가 있다고 하자. Git으로 치면 A, B는 머지할 브랜치, O는 base commit이 된다. sequence의 각 item은 소스코드의 한 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A, O, B가 있을 때, A, O, B에 대해 [Longest common subsequence](이하 LCS) (( … 3-way merge 알고리즘에 대해 계속 읽기
문자집합과 문자 인코딩 구조
문자집합(character set)은 이름 그대로 문자의 집합이다. ASCII, ISO-8859-1, UCS(Unicode의 문자집합) 등이 문자집합이다. ASCII는 127개, ISO-8859-1는 191개, 가장 최신의 UCS(Unicode 6.2)는 110,182개 문자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UCS에 포함되는 문자의 갯수는 Unicode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점점 증가하고 있다. 각 문자들은 번호가 매겨진다. 컴퓨터로 이 문자집합을 다루기 위해서는, 각 집합에 속한 문자들을 특정 길이의 정수(코드값)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한 … 문자집합과 문자 인코딩 구조 계속 읽기
메일주소와 비밀번호만으로 SMTP 설정방법 알아내기
이메일 발송을 위해 메일 에이전트에 SMTP를 설정하려면 알야아 하는 것이 많다. 대략 다음과 같다. 호스트네임 포트번호 사용자이름 비밀번호 SSL/TLS 사용여부 하지만 일반 메일 사용자들이 알고 있는 것은 자신의 메일주소와 비밀번호뿐이다. 이것만 가지고 간단히 메일 발송 설정을 하도록 할 수는 없을까? 어느정도 가능하다. you@gmail.com이라는 메일주소에서 SMTP 설정을 알아내는 예를 들어보겠다. 메일주소의 구성 RFC 5322 Section-3.4.1에 따르면 … 메일주소와 비밀번호만으로 SMTP 설정방법 알아내기 계속 읽기
SMTP 설정에서 SSL과 TLS의 차이
메일 클라이언트를 설정할 때, 메일 발송을 위해서 POP3 혹은 SMTP 설정을 하게 된다. SMTP 설정의 경우, 보안 설정을 SSL로 하는 경우도 있고 TLS로 하는 경우도 있다. SSL과 TLS는 무엇이 다른가? SSL이냐 TLS냐를 잘못 선택하면 메일 발송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 둘이 서로 다른 것 같지만 사실 둘은 한 줄기다. SSL 3.0이 버전이 올라가면서 TLS … SMTP 설정에서 SSL과 TLS의 차이 계속 읽기